그간 온라인 MD 로서 경력을 살펴보면 

 

- 국내 자사몰 사이트 (여성복) 판매

- 국내 플랫폼 (제휴몰/이월 상품 전용 사이트) 샤방넷 솔루션 이용하여 판매 

- 해외 플랫폼 입점 브랜드 판매 (아마존 미국, 일본, 유럽)

- 국내 자사몰 편집 브랜드 유치 및 판매 (카테고리 매니저 역할)

- 국내 백화점 온라인 입점하여 브랜드 판매 (백화 3사, AK, 갤러리아)

 

백화점 온라인 매출은 해당 매장의 매출로 잡힌다. 백화점 오프라인/온라인 매출이 동일하게 취급한다해도 브랜드 내부 정책에 따라 백화점 온/오프의 매니저의 판매수수료가 다를 수도 있다.

코로나와 같은 비상상황 같은 경우의 오프라인 매출이 저조할 때는 온라인 매출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백화점 온라인 담당자로서 백화점 매출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백화몰 담당 MD와 월별 행사 일정 협의  > 행사 리스트 전달 (매장 샵매니저님, 담당 MD 전달) >

매장 매니저의 재고, 가격를 리스트대로 세팅 > 행사 제대로 세팅되어있는 지 확인/ 매출 관리

 

일단 백화점 몰의 특성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몰의 활성화가 다소 늦게 되었고, 여기에 대한 투자가 적은 편이므로 아직까지 지원되지 않은 것들이 많다. 그래서 해당 상품 PV, SESSION, 고객의 특성을 볼 수가 없고, 기획전 단위로 유입이나 성과를 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보니, 상품에 대한 온라인에 대한 분석보다는 최저가의 유입으로 인한 매출이 즉각적이다보니, MD들이 최저가, 단독가를 외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하겠다. 

 

몇 개월을 경험해 본 바로는 백화점 온라인 매출을 잘 내기 위해서라도 최저가라고 생각한다. 네이버 최저가로 가져감으로써 고객이 검색했을 때 해당 몰이 상단으로 위치하게 되고 퍼포먼스도 확실히 체감 할 수 있었다. 

 

묻고따지지않고 MD들이 최저가 단독가, 특가를 외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어떤 전략보다도 단지 최저가이면, 그냥 매출이 나오는 것이다. 

참 쉽지만 씁쓸한 방편이다. 우리 나라의 모든 면이 그렇긴 하지만 말이다.

 

 

 

 

 

 

 

 

 

 

'About Work > M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서 길러야 하는 것  (0) 2021.02.25
매출이 떨어졌을 때 뭐가 문제일까?  (0) 2020.08.16
온라인 MD의 하루.  (0) 2020.07.25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로 브랜드는 파괴된다.

브랜드 이미지와는 맞지 않는 가격 정책,
맞지 않은 채널 판매...

일단 기본부터 챙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회사에서 길러야 하는 것은 직무능력이 아니다. 같은 무형의 능력이라도 눈에 보이는 실무 능력의 확장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설득, 소통 능력이 더 중요하다.

모든 일의 기반이 저 위의 기술이기 때문이다.
자기는 실무능력이 뛰어나다고 위의 기술을 무시하다가는, 자기가 해놓은 성과도 못 챙길 수도 있으며
사람들에게 기분 나쁜 이미지로 포지셔닝이 될 수 있다.

물론 저 능력 가지고만 살 수 없다.
저것만 있으면 '입으로만 해결한다'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으나 적당한 베이스를 바탕으로 직장 생활에 임한다면 천하무적 업무인이 되지 않을까 싶다.

-실무능력만 인정하고 커뮤니 인간을 폄하했던 한 사람이 솔직하게 고백해본다 -

'About Work > M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점 온라인 사이트 관리하기 #1  (0) 2021.06.06
매출이 떨어졌을 때 뭐가 문제일까?  (0) 2020.08.16
온라인 MD의 하루.  (0) 2020.07.25

MD의 능력은 매출과 정비례한다고 한다. 매출은 MD의 인격이라는 말도 곧잘 하는 이 세계에서, 그렇게 단편적으로만 평가를 하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매출의 고저는 복잡한 상관관계 및 조건에서 도출된다. 매출이 떨어졌을 때 MD 들이 체크해보는 것들 위주로 얘기를 해보겠다.  특히 모든 것을 측정할 수 있다는 온라인에서의 매출은 아래의 공식으로 간단히 도출된다. 

 

구매 수량 X 객단가 = 매출

 

1) 객단가가 일정한데, 구매 수량이 많으면 매출이 오른다. 

2) 구매 수는 일정한데, 객단가가 높아지면 매출이 오른다

 

 

만약, 구매 수가 이상하게 떨어졌으면 유입 수를 본다. 유입하는 사람 대비 전환율이 떨어졌는데, 유입하는 절대 세션이 떨어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객단가가 높아지는 일들은 특이한 사항 (비싼 상품이 갑자기 팔렸거나)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매출 하락은 유입 수가 줄거나 유입 수는 일정한 데 전환율이 떨어졌을 때다.

 

전환율이 떨어지면, 또 확인해봐야 한다. 어느 상품에서 전환율이 떨어지느냐?

그 상품의 전환율이 떨어지는 내/외부 환경적인 요인이 있었는가?  내부적인 것은 할인이 끝났거나 쿠폰이 적용이 안되어서 더이상 판매로 이어지지 않는 원인이 있고, 또는 소구하는 리스트 이미지(썸네일 이미지)가 변경되었다던지 하는 요인이다. 

 

외부적인 환경 요인은 다른 타 경쟁사에서 할인/프로모션/행사를 진행하여 최저가 유입이 빠져나간 것 등으로 체크해보는 것이다. (그럼 내부적으로 또 대응해야 하는 정책을 고민해봐야 하는 것이고)

 

매출이 떨어졌을 때도 분석을 해야 하는 건들이 많지만, 매출이 올랐을 때도 원인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왜냐면 그래야 나중에 매출이 오르는 방법이 계속해서 누적되어 노하우가 되기 때문이다. 

 

말로 설명할 수 없는 판매의 '감'이 이렇게 시작되는 것이다. 

 

계속 Default 로 놔두는 것이 아니라, 가설을 가지고 변경을 하고 바꿔봐야 그 데이터들이 누적이 된다. 

 

 

'About Work > M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점 온라인 사이트 관리하기 #1  (0) 2021.06.06
회사에서 길러야 하는 것  (0) 2021.02.25
온라인 MD의 하루.  (0) 2020.07.25

온라인 MD의 하루를 읊어보겠다. 온라인 MD의 루팡을 기원하며. 좀 더 체계적으로 빠르게 회사의 돈을 가져가길 바라며 (좋은 말로 효율적으로 일을 하기 위한 ^^)

 

1. 오전

1) 처음 출근하면 전날 매출을 확인한다.

몰 안의 기획전과 굵직한 행사가 얼마만큼 퍼포먼스를 내는지 체크한 뒤, 해당 기획전에 대해 상급자가 불시에 묻는 질문에 대비를 한다. 

2) 주간 일정대로 행사 기획안과 광고(디지털 마케팅 팀) 쪽에 소재와 문구를 확인한 뒤 일정을 체크한다.

3) 이메일을 확인한 후 답변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답장을 보낸다.

4) 상급자가 요청한 업무, 보고서를 작성한다.  (주간회의, 방향성 논의, 미팅 관련)

 

2. 오후

1) (기존) 업체 미팅을 한다. 

2주, 3주 후에 일어날 행사에 대해서 목적과 매출 목표에 대해서 설명한 뒤 할인에 대비한 수수료 조정을 협의한다. 

2) (새로운) 업체 미팅을 한다

입점에 대한 계약과 회사 내 정책을 공유하고,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3) 업체가 토로하는 고충을 들은 후 내부의 개발, 서비스팀과 미팅하여 개선점을 협의한다. 

대부분 Tool에 관련된 문제이다. 매출과 관련된 것은 나와 상급자로만 이뤄진 미팅으로 끝나지만, 몰 안의 이슈에 대해서는 유관 부서까지 인게이지시켜서 해결해야 하는 것이 많다. 

 

 

나는 제조업을 기반한 인하우스(브랜드) MD 였으나, 외부의 브랜드를 편집하는 CM으로 역할이 변경되어 현재 부여받은 매출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중이다. 

 

이 일을 하면서 영업과 관련된 요소가 많기에 피로도가 쌓인다. 나는.. 영업에 체질이 안 맞는 것 같기도. 햐...

 

MD는 처음 꼬꼬마 AMD 에서부터 연차가 쌓이면서 전체적인 라이프 사이클 (월별 행사)대로 자기도 모르게 행사를 기획하는 중견(?) MD로 변해 있음을 느낄 것이다. 근데 그정도는 3-4년차 MD로서 제대로 일하는 사람은 당연히 할 수 있는 자질로서, 단순히 행사를 하고 매출을 내는 것만 MD의 몫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연차가 쌓일수록 좀 더 퍼포먼스를 내려면, 해당 카테고리의 자세한 브랜드를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략을 좀 더 세분화하고 그걸 실행하는 게 주요한 성공 요소라고 생각한다.

 

끊임없이 공부해야 한다. 

 

지난 번에는 여러 종류의 창고 비용을 이야기 해보았고, 실제로 셀러 입장에서 각 단계에 따른 비용 청구를 살펴보도록 한다. 아마존은 창고 비용 외에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면 아마존에 보내는 과정에서 어떻게 비용이 책정이 되는 지 한번 살펴 보자. 

 

1.   아마존 입고 전 단계

아마존 창고는 (이하 FBA) 전 세계의 상품들이 모이는 창고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존에 명시된 정책과 규격대로 보내지 않으면 각종 불이익이 따른다. (Packaging and prep requirements, Shipping and routing requirements 항목 참조)

아마존에 상품을 보낼 때 어떤 형식으로 보내는 지 잠깐 알아보고, 만약 자신이 이런 과정을 다 할 수 없을 때 아마존이 대행해주는 서비스가 무엇인 지 확인을 해보자. 

 

아마존은 개별 상품에 GTIN,UPC, EAN 같은 국제 규격 바코드를 부착하여야 한다. GTIN (Global Trade Item Number)을 면제 신청을 할 수 있지만 아마존에 브랜드가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나 수제품 같은 경우이므로 아마존 코리아에 문의해서 자신이 해당되는 지 알아보자. 

 

아마존에 입고하기 위해서 간단히 1) 아마존에 개별로 바코드가 부착되어있어야 하고, 2) 아마존에 보낼 박스 외관에 Shipment Mark (아마존에서 발급해주는 박스 바코드)가 붙어

있어야 한다. 

 

만약 개별 상품에 일일이 바코드 부착하기가 어렵고 UPC바코드도 구입해야해서 번거롭다면 아마존 전용 바코드로 FBA Label Service 를 신청할 수 있다. 하나당 $0.30 이다. 

 

아마존에 발송하려면 아마존에 먼저 리스팅을 한 뒤 아마존에서 발급해주는 FnSKU로 개별 바코드 부착해야 한다. 한 SKU당 FnSKU가 매칭되어서 나온다. 

 

 

2.   아마존 입고 

아마존에 물건을 보내기 위해서는 Shipment (Shipping plan) 를 만들어야 한다. 아마존에 보내는 방법은 여기서 좀 다른 주제이므로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Shipment 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SKU와 몇 개가 보내지는 지 ‘아마존 양식’을 통해서 업로드하면 아마존은  2-3개의 FBA창고 (Fulfillment) ID와 주소가 적혀서 나온다. (Random 으로 분배됨)

 

이럴 때 소상공인들은 고민이 된다. 2군데가 가까우면 따로 따로 보내면 되는데 거의 미국의 동부와 서부 정도 급으로 나눠지면 보내는 발송비도 (택배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존은 1군데로 몰아서 보낼 수 있는 FBA Inventory Placement Service 를 제공한다. 

개당단가(per item) 다. 지난 번에 얘기했던 Standard와 Oversize 를 구분해서 무게별로 금액을 받는다.

 

 

이렇게 말하면 얼마만큼 큰 금액인지 와닿지 않으니, 예시로 설명을 해보겠다.

내가 1pc당 300g인 티셔츠 50개(패킹 사이즈는 Standard size) 를 10박스로 보낸다고 했을 때 (1lb는 293g된다. 그러니 이 상품은 1-2lb 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럼 한 군데의 창고로 입고 시키기 위해서는 $0.40 * 50 ea * 10 box = $200 이 든다. 

 

$200 (약 240,000원) 이 얼마 안 들 것 같은가? 이게 500장이 아닌, 1,000장이나 2,000장이면 얘기가 달라진다. 부담스러운 가격이 된다. 

 

2-3군데로 가는 배송비가 이것보다 쌀 지, Placement Service Fees 로 보내는 게 쌀 지 결정해야 한다. 

 

 

3.   아마존 입고 완료

아마존창고에 무사히 자신의 상품이 도착했다면 Shipping Queue 메뉴로 들어가보면 자신의 Shipment ID 에 해당하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상태를 보면 Status가 In transit 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표시가 된다. 아마존이 수량을 다 셌을 경우는 CLOSED로 쉽먼트 입고 종료를 한다. 

 

 

그러나 주의 할 점은 여기서 보낸 박스가 너무 크거나 중량이 너무 무거우면 안전상의 문제로 수수료를 부과하는데 그것은 Unplanned Service Fees 다. 그러므로 철저히 박스 크기와 중량을 꼭 지키도록 하자. 미국은 한국과 다르다. 얄짤없다. 

 

 

 

4.   재고 관리 (월별 보유 비용)

 

이제 아마존에서 입고가 되었으면 판매가 되도록 힘쓰는 것인데 보유하면서 드는 아마존 비용은 아래와 같다. 

 

Monthly inventory storage fees

매월 부과되는 창고비용이다. 계산 방식은 평균 보유한 일정에 재고의 볼륨을 곱하여 구한다.  

 

Long-term storage fees

장기 보관료이다. 

원래는 1년에 2번 부과되었던 정책이지만, 이제는 매월 15일에 1년 이상 아마존에 적재된 재고에 대해서 비용을 책정한다. 

 

Removal order fees

아마존에서 자기가 원하는 창고로 다시 Return 하거나 아마존에서 Disposal (폐기처리)할 때 드는 비용이다. 

 

Returns processing fees

고객이 리턴을 할 때 시스템 부과 비용이다. FBA 에서는 고객 반품 비용(Fulfillment Fees for Orders on   Amazon)도 거의 셀러가 부담한다.  반품하면 2배의 FBA 비용이 나가는 것이니, 최대한 반품이 안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FBA inventory storage overage  fee

기존 재고가 특정 달에 초과했을 때 부과하는 비용이다. 이것도 신설된 듯 하다. 매년 뭔 항목으로 그렇게 떼어가는 지.. 정말 팍팍하다. 

 

다음에는 월별 보유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실제 비용 시뮬레이션도 해보도록 하자. 

 

이미 전에 이야기했던 대로, Amazon FBA 를 이용하면 자사의 창고를 쓰기 때문에 노출 순위에 영향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앞에서 벌고 뒤에서 2배로 손해보지 않으려면 FBA (Fulfillment By Amazon) 비용을 잘 알아야 한다. 

오늘은 그 많은 FBA 비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Fulfillment Fees for Orders on   Amazon

일종의 배송비이다. Pick & pack 비용이 부과된다. 

 

Fulfillment Fees for   Multi-Channel Fulfillment Orders

아마존에서 판매되지 않은 상품이지만, FBA 창고에 상품이 있어서 보낼 때 부과되는 비용이다. 

 

Monthly inventory storage fees

매월 부과되는 창고비용이다. 계산 방식은 평균 보유한 일정에 재고의 볼륨을 곱하여 구한다. 

 

Long-term storage fees

장기 보관료이다. 

원래는 1년에 2번 부과되었던 정책이지만, 이제는 매월 15일에 1년 이상 아마존에 적재된 재고에 대해서 비용을 책정한다. 

 

Removal order fees

아마존에서 자기가 원하는 창고로 다시 Return 하거나 아마존에서 Disposal (폐기처리)할 때 드는 비용이다. 

 

Returns processing fees

고객이 리턴을 할 때 시스템 부과 비용이다. FBA 에서는 고객 반품 비용(Fulfillment Fees for Orders on   Amazon)도 거의 셀러가 부담한다.  반품하면 2배의 FBA 비용이 나가는 것이니, 최대한 반품이 안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Unplanned service fees

아마존 창고에 입고 시킬 때, 아마존의 정책을 위반 하였을 때 패널티 형식의 수수료다. 박스 크기와 무게는 아마존에서 시키는 대로 하는 게 좋다. 

 

FBA inventory storage overage  fee

기존 재고가 특정 달에 초과했을 때 부과하는 비용이다. 이것도 신설된 듯 하다. 매년 뭔 항목으로 그렇게 떼어가는 지.. 정말 팍팍하다. 

 

미국은 한국과 단위들이 매우 다르다. 무게는 파운드를 쓰고, 길이는 인치로 쓴다. 그래서 환산해서 계산을 해야 한다. 

 

 

특히 아마존은 상품의 크기에 따라서 스탠다드 사이즈와 오버 사이즈로 우선 구분하고, 

각 스탠다드 사이즈 구간을 매우 촘촘하게 구분해놨다. 아래의 표는 무게별로 다르게 금액이 책정된 것이다. 

 

Standard Size 기준은 아래를 초과하면 오버 사이즈가 된다. 

  1. 20 lb(약 0.9kg) 또는 더 낮은 무게 이고

  2. 아래의 크기를 벗어나지 않는 것

  • 18 inches on its longest side (제일 긴 부분이 18인치 (45cm))

  • 14 inches on its median side (중간 부분이 14인치 (35cm))

  • 8 inches on its shortest side (제일 짧은 부분이 8인치(20cm))

실제로 아마존 리포트를 보면 Standard Size로 잡혀야 할 물건이 (같은 SKU인데 컬러만 다른데도) Oversize로 잡혀서 각종 비용을 높게 책정시키는 주범이 된다. 그러니 꼼꼼히 리포트를 확인해서 정정을 시켜야 한다. 




패션 전공자가 졸업을 해서 직장으로 취업을 하게 되면.. 우븐과 니트를 구분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대학과 현업의 괴리가 크다는 거죠. 정말 꼭 가르쳐야 할 것은 안 가르치고.. 예전 오래된 학문만 알려줘서 아쉽기만 합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대학의 지식도 빨리 업데이트 되어야 할텐데 말이죠.

 

그렇다면 현재 똑똑한 MZ 세대는 인터넷과 도서관에서 정보를 얻게 되겠죠. 하지만 도서관에서 책을 보려고 해도 어떤 책을 어디서 봐야할지도 막연하기만 합니다. 

 

직장에 가서 우븐 몇 스타일, 니트 몇 스타일이라고 기획을 할 때 '우븐이 뭐에요?' 라는 걸 묻지 않기 위해 (물론 묻는 건 중요합니다. 바보같은 질문은 없다는 속담도 있으니깐요) 정리를 해봅시다. 

그렇다면 왜 이것을 구분을 해야 할까요? 

 

일단 선(2차원)으로 되어있는 실을 원단으로 만들려면 면(3차원) 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 면으로 만드는 방식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우븐 2. 니트 3. 압착 으로 원단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우븐

우븐은 경사와 위사로 직조되어서 짜여진 원단을 말합니다. 경사(날실)는 세로, 위사(씨실)는 가로입니다. 예전 할머니분들이 베틀 짜던 거 기억 나시죠? MZ 세대 중에서 베틀을 모르실 수도 있겠네요.  아래 그림 봐주세요

요즘은 미니베틀도 나오고, 취미 생활로 간단한 직조(위빙)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나오는데요.

저렇게 경사로 (분홍색 실) 실이 걸리고 좌우로 (그린계열 실)이 왔다 갔다하면서 분홍색 실에 통과하면서 걸어주는 것입니다.

출처: https://www.localnaeil.com/News/View/634767

현대의 우븐 직조 기계도 이러한 원리로 만들어졌습니다. 사람의 손에 북이 왔다가 갔다하는 게 기계로 동작할 뿐입니다.  이런 원단으로 만든 옷은 대표적으로 셔츠, 블라우스, 청바지, 자켓 등이 있습니다. 

 

우븐에 관한 잘못된 설명이나 오해가 있어서 몇 가지 짚어드립니다. 

1) 우븐은 좌우로 당겨보면 늘어나지 않는 원단이야. 

잘못된 설명입니다. 우븐을 직조할 때 스판덱스 원사를 집어넣으면 늘어날 수 있습니다. 

 

2) 우븐은 가로 세로 분명하게 조직이 보이는 원단이야. 

잘못된 설명입니다. 우븐의 직조 방식은 매우 다양합니다. 평직은 1:1로 직조되어서 가로 세로가 분명하게 보이지만 1:3, 1:4 같은 조직은 트윌로 사선으로 경사진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븐 조직 종류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2. 니트

니트는 실을 한 개로 바늘로 뜨개질을 하여(루프를 형성하여 이 루프를 연결시켜 만들어진) 면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편직, 편성물이라고 합니다. 직물 직조하는 방향에 따라 위편물과 경편물로 나눠지고요.

위편물은 환편(Circular Knitting, 다이마루),횡편 (Flat Knitting), 풀패션 (full-knitting) 으로 나눠집니다. 경편물은 트리코트, 라셀, 밀라니즈 같은 것이 있습니다. 나중에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이 니트로 만든 것들은 우리가 아는 가디건, 스웨터, 티셔츠, 운동복(레깅스, 트레이닝복) 등이 있습니다

니트는 루프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좋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3. 압착

실이라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원단으로 만들려고 한다면, 열과 수분, 압력 등을 가하여 만든 펠트 직물이 있습니다. 부직포, Wep의 형성과 접합으로 펠트, 천연피혁, 인공피혁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됩니다. 

 

 

출처:

패션소재기획 (김정규. 박정희 지음) p104

+ Recent posts